겨울 스포츠 전 알아 둬야 할 '근골격계 부상 예방법'

겨울 스포츠 전 알아둬야 할 '근골격계 부상 예방법'

12월에 전국 스키장이 개장하며 본격적인 스키와 스노보드 시즌이 시작되었어요. 눈 위에서 스피드를 즐기는 역동적인 스포츠로 두터운 마니아층을 자랑하는데, 추운 날씨에 빠른 스피드를 내는 운동이다 보니 근골격계 부상을 입기 쉬워 주의해야 해요.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접수된 스키와 스노보드 안전사고는 총 1234건으로, 코로나19 종식 이후인 2021년부터 매년 증가하고 있어요.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86.9% 상승한 443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주로 미끄러지거나 낙상사고가 1137건으로 전체의 92.1%를 차지하고 있으며, 충돌로 인한 부상이 56건으로 뒤를 이었어요.

오승목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려면 균형 감각이 중요한데, 순간 넘어지지 않으려면 몸의 균형을 잘 잡아야 하기 때문” 이라며 “특히 경사진 곳에서 가속이 붙기 때문에 낙상이나 충돌 시 무릎과 손목 등 관절 부위에 골절 등 치명적 부상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라고 말했어요.

겨울철 스포츠, 전신 부상 위험성

경사진 설원을 빠른 스피드로 내려오며 쾌감과 스릴을 즐기는 겨울 스포츠는 1년 중 즐길 수 있는 기간이 약 4개월에 불과해 많은 이들이 눈이 오고 찬 바람이 불기를 기다리고 있어요.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기 위해서는 다리와 허리, 발목의 힘이 뒷받침되어야 해요. 그냥 서서 타는 것이 아니고, 긴 거리를 속도를 조절하면서 활강하며 내려오기 때문이죠. 일반인이 즐기는 스키나 스노보드의 속도는 대략 15~30km/h 정도로, 언덕을 내려오며 가속도가 붙어 충돌하거나 낙상 시에는 큰 충격을 받아 목부터 발목까지 전신에 걸쳐 다양한 부상을 입을 수 있어요.

특히 올 겨울은 축축하고 무거운 습설이 많이 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습설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어 스키장의 슬로프가 일종의 슬러시처럼 될 수도 있답니다. 슬로프가 질퍽하면 마른 눈 상태에 비해 속도가 잘 나지 않지만 잘 미끄러지지도 않아 스키나 스노보드의 엣지가 눈에 박히기 쉬워 중심을 잃고 넘어져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요.

스키와 스노보드 사고의 대부분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로,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큰 부상을 안겨줄 수 있으니 안전사고 예방에 유의해야 해요.

안전한 겨울철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부상 예방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신체에 맞는 장비 착용

우선 상해 예방을 위한 장비 선택이 중요하답니다. 헬멧, 고글, 장갑 등 보호구를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꼭 착용해야 해요.

2. 수준에 맞는 슬로프 이용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고, 슬로프의 눈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평소보다 한 단계 낮은 코스에서 타거나 속도를 낮추는 것이 좋아요.

3. 안전거리 유지

다른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넘어질 때 몸 전체를 공처럼 둥글게 말아 안전하게 넘어지면 부상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답니다.

4. 부상 시 즉각 대처

만약 골절이 의심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배치돼 있는 안전요원이나 119에 신속하게 신고한 후 응급처치를 해두는 것이 좋아요. 골절 의심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 고정하고 심장보다 높게 둬야 해요. 골절 부위는 열과 부종, 통증이 심해지므로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고, 외부 출혈이 있다면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깨끗한 거즈나 천을 이용해 지혈해야 해요.

5. 근육 단련하기

허벅지와 엉덩이, 복부의 근육이 주로 이용되므로 평소 이 근육들을 단련해 놓는 것이 좋아요. 또 순발력이 좋으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불규칙한 설면에서도 순간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해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답니다.

출처: 헬스인뉴스(https://www.healthinnews.co.kr)

 

 


0

댓글0

스크랩

댓글 총 0

깨끗한 오늘, 자신있는 내일을 위한 유한킴벌리 위생건강케어 직영몰

신규 가입 혜택

앱으로 더 편리하게 쇼핑하세요! QR코드를 촬영하면 앱다운로드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