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독감 환자 급증... "유행세, 심상치 않다"
전국 독감 환자 급증... "유행세, 심상치 않다"
최근 들어 독감 유행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에요.
이제 많은 분들이 독감과 감기가 다르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독감을 경험한 분들은 ‘죽다 살아났다’고 표현할 정도로 증상이 심각한 경우가 많아요. 독감은 고열과 심한 두통을 동반하며, 오한과 함께 몸이 얻어맞은 듯한 근육통이 발생하는데요. 반면, 감기는 경미한 발열과 몸살 증상이 동반되죠. 독감은 합병증으로 폐렴 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점에서도 감기와 큰 차이가 있어요. 최근 검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대부분 A형으로, A형 독감의 대표적인 증상은 38도 이상의 발열, 기침, 인후통 등이 있습니다.
독감을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독감 예방주사는 필수
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어요. 독감 예방주사는 생후 6개월이 지난 모든 사람이 접종 대상이랍니다. 신형식 대전을지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교수님은 “일반적으로 독감 백신은 약 70%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니,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하셨어요. 또한, 요즘 출시되는 독감 예방주사는 부작용이 적고, 일시적이어서 1~2일 이내에 사라진다고 하니 안심하고 맞아도 괜찮답니다.
2. 증상 발생 48시간 내 항바이러스제 사용
독감 증상이 발생한 후 48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돼요. 평소 건강한 사람이 독감에 걸렸을 경우, 보통 3~5일 지나면 심한 증상은 대부분 호전되고, 1주일 이상 지나면 대부분 회복된답니다. 만약 독감에 걸렸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또한, 실내 공기를 따뜻하고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돼요. 실내 환기는 2시간마다 10분씩 해주는 것이 좋답니다.
3. 충분한 수분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도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돼요. 신형식 교수님은 “코가 막혀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면 목이 마르고 인후통이 심해지기 쉬우니, 물을 충분히 마시면 목을 건조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고 가래의 배출도 원활해져 호흡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하셨어요.
4. 꼼꼼히 손 씻기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손 씻기’가 필수적이에요. 많은 분들이 손바닥만 문지르는 경우가 많은데, 30~40초 정도의 충분한 시간을 들여 손등, 손가락 사이, 손끝, 엄지손가락 등을 꼼꼼히 씻어야 한답니다.
5. 면역력 관리하기
사람이 많은 곳은 가급적 피하고, 평소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건강하던 사람도 과로나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되면 적은 양의 바이러스에 노출되어도 독감에 걸릴 수 있으니, 과음과 과로를 피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출처: 헬스인뉴스(https://www.healthinnews.co.kr)
0
댓글1
스크랩